고창군 태극기. 국가상징 자세히보기

고창군고창동학농민혁명

종래에는 모든 동학농민전쟁 1차 봉기지가 고부라고 설명해 왔다.

이는 전봉준이 주도했던 '고부민란'이 고부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제1차 농민전쟁도 고부에서 일어났으리라는 선입관에 지배되어 사료를 정밀하게 검토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발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선총독부가 동학농민전쟁사를 정리하면서 철두철미하게 고부 사람들이 단순한 조병갑 군수의 학정에 견디다 못한 농민들의 민란으로 축소 지향시켜 타 지역 사람들이 가담한 혁명성을 고의로 엄폐하고자 날조, 왜곡시키는 데 친일 사학자들을 참여시킨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전봉준을 재판할 때 당시 조선조 관변 측이 작성한 '전봉준 판결 선고서 원본'과 전봉준 자신의 공초를 보면 이를 명백히 알 수 있다. 그 기록을 간추려 보면,

  • 첫째, 전봉준은 4천여 명의 농민군을 규합해 무기와 식량을 준비한 다음 제1차 농민전쟁을 무장에서 일으켰다.
  • 둘째, 먼저 고부를 친 다음 계속해서 태인→원평→금구로 진출하였다.
  • 셋째, 농민군이 금구에 진출했을 때에 전라 감영군 만여 명이 농민군을 진압하러 온다는 정보를 듣고 일단 고부로 물러갔다.
  • 넷째, 농민군은 금구에서 부안을 거쳐 고부로 후퇴하다가 관군을 만나 밤 낮 하루를 격전한 후 전라 감영군을 무찌르고 승리했다.
    여태까지는 황토재 전투가 농민군이 고부에서 전주로 진출하다가 승리한 전투로 알려져 있었는데, 실제는 전주로 진출하다가 길을 바꾸어 고부로 돌아가면서 승리한 전투였다.
  • 다섯째, 1894. 4. 7 농민군은 황토재 전투에서 이긴 후 정읍→흥덕→고창→무장→영광→함평의 경로로 진출하여 장성에서 경군(7백명)을 격파하고 주야로 강행군하여 4월 26일과 27일에 관군보다 앞서 전주에 무혈입성 하였다.

여기에서 첫째 - 셋째까지의 사실은 종래 전혀 모르거나 잘못알고 있던 사실이었음을 밝혀둔다. 또한 종래의 학계에서는 무장에서 포고한 창의문도 고부기포 후 전주로 가는 도중 포고한 것으로 해석하고 백산 격문 등 보다 뒤에 포고한 것으로 판단했었다. 이 창의문은 음력 4월 9일 무장에서 포고된 문건이 아니며, 당시 조정에 4월 5일에 접수된 그 이전의 무장에서 포고한 창의문으로, 제1차 농민전쟁의 첫 무장기포 때의 창의 포고문인 것이다. 그럼 왜 제1차 농민전쟁이 고부에서 일어나지 않고 무장에서 일어나게 되었는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그 이유는 두 가지 배경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것은 무장에 남접(南接)의 도소(都所)가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남접의 설치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대략 안핵사 이용태가 고부에 도착하여 민란의 주동자를 색출하기 시작한 2월 29일 - 3월3일경이 아닌가 생각된다.

무장에는 손화중이라는 대접주가 있었다. 손화중포는 전라도 일대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영향력이 막강하였다. 또한 손화중은 1년 전의 보은(報恩)집회 때 독자적으로 호남의 동학도를 모았던 금구취당의 두목이었다. 따라서 무장에 도소를 설치하면 단기간 내에 효율적으로 대규모의 동학조직 세력을 도소의 지휘 하에 둘 수 있었다. 또한 고부 접주 전봉준과 무장 대접주 손화중은 단순한 동호접주가 아니고 서장옥 계열의 혈맹적 동지였기에 상호 신임도가 절대적이어서 손화중의 막강한 조직력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 무장에 남접도소를 설치함으로써 동학의 조직과 활동을 종교의 범주에 국한시키려는 북접의 제약과 간섭에서 벗어나 당시의 사회적 모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투쟁력을 발휘할 수가 있어 남접도소 설치의 중요성과 무장에서 기포하게 된 배경과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전봉준의 고부 우거지와는 달리 무장지역에는 소위 역적모의를 큰 불편 없이 도모할 수 있는 천안 전씨 문효공파의 세거지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사족을 붙이자면 고부민란의 바탕정신이 당시의 사회 개혁이나 정치개혁에 확고한 목적의식을 두지 않고 거의 단순하게 가렴주구에 견디다 못해 이판사판으로 봉기했던 일반 농민들이 박원명 신임 군수의 유화책으로 해산되고, 이후 고부 안핵사 이용태의 주모자 색출을 통한 강압과 위력에 눌려 고부지역 농민봉기가 다시 일어날 힘을 잃어버렸던 사실 정황도 묵과 할 수만은 없는 문제점이었다.

고부민란의 해산 이후 안핵사 이용태가 8백명의 역졸을 이끌고 고부에 진을 치면서 상황은 다시 악화되었다. 주동자와 참가자를 색출한다는 명분하에 죄 없는 농민들을 마구 구속하고 재물을 약탈하였으며, 민란에 가담한 자와 그 가족들을 학살하였다. 이러한 만행은 고부에서 뿐만 아니라 무장ㆍ태인ㆍ금구ㆍ정읍ㆍ김제ㆍ부안 등의 지역에서도 있었다. 이러한 이용태의 폭압 속에서 전봉준은 고부봉기에서 드러난 한계를 극복하고 농민전쟁으로 진전시키기 위해 손화중과 김개남의 참여를 유도했다. 마침내 전봉준은 손화중, 김개남, 김덕명 등의 전라도 남접계 주요 인물들과 손을 잡고 무장에서 기병할 수 있었다.

3월 16일 - 18일 사이에 사방에서 농민군들이 주야로 무장 동음치면(冬音峙面) 당산(堂山: 현 공음면 구수)마을 앞 강변에 천여 명이나 집결하였다. 그 수는 점차 불어나 4천군을 헤아리게 되었다. 이들 중 수백명은 법성 진량면(陳良面) 용현리(龍峴里) 대나무 밭에서 죽창을 만들고 민가에서 총포 등을 마련해 갔다. 3월 20일까지 일단의 봉기의 만반 태세를 갖춘 농민군은 처음으로 정부를 살대로 한 창의 포고문을 선포하여 농민군이 일어난 뜻을 분명히 밝혔다. 그리고 주변의 각 고을에 통문을 보내어 제폭구민, 보국안민의 대의를 위해 모두 일어날 것을 호소하였다. 이것이 본격적인 1894년 3월의 1차 봉기였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콘텐츠 담당자 정보

  • 담당자 : 장진혁
  • 전화번호 : 063-560-2462

최종수정일 : 2019-10-1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