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회의
동학농민혁명사에서 차지하는 무장기포에 대하여 역사적 의의와 현대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또한 동학농민혁명의 연속성과 철학이 있는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연구사업을 매년 실시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 학술연구 · 조사 사업을 통해 한국근대사에서 갖는 역사적 의의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동학농민혁명의 이념 및 정신을 계승하고자 한다.
- 제1회 전라도 고창지역의 동학농민혁명 (97.10.10)
- 제2회 고창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과정과 역사적 의의 (98.04.23)
- 제3회 동학농민혁명과 고창 (04.10.16)
- 제4회 고창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 방향과 과제 (08.11.19)
- 제5회 세계의 역사기록화와 동학농민혁명 역사기록화 (09.07.30)
- 제6회 동학농민혁명의 발발과 무장기포의 의의 (10.11.04)
- 제7회 고창동학농민혁명 유적지 현황과 활용방안 (11.11.04)
- 제8회 동학의 글로컬리제이션(Glocalization) : 고창의 동학농민혁명과 동귀일체의 동학정신 (12.11.29)
- 제9회 1890년대 초반 조선사회와 민중동향 (13.11.08)
- 제10회 무장기포의 사료적 가치와 위상 (14.04.24)
- 제11회 오지영의 「동학사」에 대한 종합적 검토 (14.11.05)
- 제12회 동학농민혁명 당시 고창지역 농민군 활동에 대한 재조명 (15.10.30)
- 제13회 전봉준장군 생가터의 역사적 의의와 활용방안 (16.11.10)
- 제14회 고창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과 기념사업의 방향 (17.11.16)
- 제15회 고창지역 동학농민혁명과 전봉준 장군 (18.11.08)
- 제16회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지의 사적 지정을 위한 학술토론회
- 제17회 고창무장기포지 사적지정과 기념공간 조성사업의 방향
- 제18회 고창동학농민혁명 역사문화콘텐츠 개발 및 활용 방안
- 제19회 고창 동학농민군이 꿈꾼 새로운 세상
- 제20회 고창동학농민혁명 유적지의 새로운이해
- 제21회 새롭게 밝혀진 동학농민군의 지역별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