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태극기. 국가상징 자세히보기

고창군고창동학농민혁명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 작성자 : 동학관리자
  • 작성일 : 2024.05.29
  • 조회수 : 81

ASM13007.JPG(11162 kb)전용뷰어
ASM13023.JPG(8046 kb)전용뷰어
ASM13115.JPG(1084 kb)전용뷰어
ASM13422.JPG(10705 kb)전용뷰어
ASM13608.JPG(10319 kb)전용뷰어
ASM13844.JPG(10716 kb)전용뷰어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1번째 이미지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2번째 이미지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3번째 이미지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4번째 이미지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5번째 이미지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6번째 이미지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1번째 이미지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2번째 이미지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3번째 이미지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4번째 이미지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5번째 이미지
  • 전봉준장군 동상 제막식 6번째 이미지
대한민국 대표 구상조각가인 국경오·강관욱 작가의 작품인 ‘義의 깃발 아래’는 전체 12인 군상으로 이루어진 조형이다.  먼저 선두에 전봉준 장군이 무장포고문을 읽고 나서 의연한 자세로 앞을 향해 첫 발을 내딛는 순간을 긴장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그 옆에 보국안민(조국현 글), 제폭구민(고 하관수 글), 척왜양창의(김용귀 글) 등이 새겨진 커다란 깃발 아래 거사를 앞둔 농민군이 각자 비장하게 결의하는 모습을 사실감 있게 나타내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섬세하게 표현했다.     

또 뒤편 언덕에선 시대적으로 고통받았던 민초들의 처절한 얼굴을 섬세하게 표현했고, 다양한 인물의 감정 표현으로 민중의 애환을 느낄 수 있다.  주변에는 이이화 선생이 쓴 '무장포고문'을 비롯해 동상 건립에 도움을 준 이들의 이름을 새겼다. 

목록

댓글

댓글쓰기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콘텐츠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 문화예술과
  • 전화번호 : 063-560-2462

최종수정일 : 2024-05-29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