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사이트맵

부모의 열등감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5.10.07
  • 조회수 : 290

 

부모의 열등감

 

부산아동청소년상담센터 오아시스원장 박노해

 

 인간이면 누구나 조금씩 자신의 결점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점을 인정하지 못하고 숨기고자 한다면 그 결점은 점점 더 커지고 혹 대인관계에서 누군가 자신의 결점을 알게 되어 드러나지 않을까 하는 염려를 한다면 그 열등감은 더욱 자신을 괴롭힐 것이다.

 

 부모는 자녀가 학교나 친구관계에서 작은 실수를 하거나 성적이 떨어지는 경우, 혹은 이웃집 어른에게 겸손하지 못한 경우, 지나치게 자신의 욕심을 부리는 경우 등 자녀의 행동으로 인해 부모가 난처해지거나 부끄러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녀를 질책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자녀의 학습능력과 관련된 부모의 열등감은 누구나 조금씩은 있는 일이다. 오늘날 한국사회의 과외열풍은 이를 증명하고도 남는다.

 

 부모의 열등감은 자녀에게 또 다른 열등감을 대물림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부모는 자녀가 보다 잘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자녀의 부족한 부분을 지적하지만 자녀의 입장에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 할뿐 더러 자녀의 자존심만 떨어트리는 결과를 낳고 자녀의 미움을 사게 되는 경우도 있다. 상담실에 내방하시는 부모님들께서 하시는 말씀 중에 자녀가 초등학생까지는 너무 착하고 말을 잘 듣는 아이였는데 중학교 들어와서 사춘기가 되면서 부모에게 반항을 한다면서 이를 어떻게 했으면 좋을지 질문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자녀가 청소년기에 부모에게 반항을 한다면 부모는 두 가지관점에서 자녀의 입장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첫째는 우리 아이가 사회적, 객관적 관점에서 볼 때, 어느 시점에 있는가 하는 것이다. 즉 자신의 자녀를 청소년기의 연령대에 맞게 느끼고 대하고 인정하느냐는 것이다. 부모의 입장에서 자녀는 소중한 존재이다. 그렇기 때문에 객관적 관점에서 자녀를 바라보지 못하는 오류를 부모는 범하게 된다자신의 자녀가 다른 집의 자녀보다 조금 더 잘했으면 조금 더 낳은 위치에 갔으면 하는 바람은 어느 부모에게나 있다. 그러나 지혜로운 부모는 자녀가성장함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짐을 느끼고 변화된 관계를 시도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자녀의 반항을 버릇없는 잘못된 것으로만 보는 부모의 도덕관이다. 반항의 긍정적인 측면은 주장성, 책임성 등의 자기표현에서 매우 건강한 의미가 있다. 청소년기에 부모의 의견에 무조건적으로 따르는 자녀를 두었다면 그 부모는 자녀교육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한다. 부모에게 자신의 불편한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는 아이는 사회적 관계에서 지속적으로 피해를 보거나 극단적인 대인관계를 시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부모는 왜 자녀가 바람직한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가 하는 점이다. 그것은 부모의 경험세계에서 만들어진 가치관의오류에서 출발한다. 즉 내가 경험한 것이 진실이다라는 고집이다. 인간은 누구나 삶을 살면서 나름대로의 경험적 철학을 갖추어 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적 경험은 검증 되지 않는 내용이며 왜곡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개인은 누구나 성공하기를 원하며 인정받기를 소망한다. 부모 또한 한 인간으로서 부모에게 인정을 원하지만 집안형편으로, 부모의 과격한 성격으로 혹은 건강문제로 좌절하거나 결핍을 경험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마련이다. 예전엔 경제적 어려움으로 현재 386부모세대나 위부모들은 학업에 열등감이 많을 것이다. 맏이가 공부해서 동생들을 이끌거나, 맏이가 돈을 벌어서 동생들 학업 뒷바라지를 하는 등 나름의 상처가 많다. 이러한 상처는 열등감으로 마음 한 가운데 자리를 잡고 누구에게 표현하지 못한 체 자녀만큼은 나와 같은 서러움을 주지 않기 위해 자녀의 공부에 신경을 쓰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 자녀가 부모의 기대를 따라 주지 못 할 경우, 자녀는 부모에게 많은 부담과 갈등을 경험하게 되어 청소년기의 반항과 비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인간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본능적 욕구가 있다고 Freud는 본능(id)과 자신의 욕구를 조절하기 위한 초자아(superego), 그리고 본능과 초자아의 조정역할을 하는 자아(ego)를 성격구조로 설명하였다. 부모는 자녀가 잘 되기를 바라지만 부모 자신의 해결 되지 않는 결핍 욕구로 인해 자녀의 건강한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통찰 하여야 한다.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진정한 사랑은 부모 자신의 욕구의 조절력이다. 즉 자기이해이다. 자녀를 위한 사랑은 예민하고 절제되며 신중하되 지혜로워야 한다. 이러한 대처는 매우 성숙을 요구하며 이러한 부모 역할은 당연한 부분이다. 쉽지 않겠지만 부모는 자식에 대한 책임을 다하겠다는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부모 역할을 완벽하게 해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자녀에게 부모 자신의 내적 갈등의 원인으로 자신의 부정적 왜곡된 삶을 대물림 하는 우를 범하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목록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콘텐츠 담당자 정보

  • 담당자 : 육아종합지원센터
  • 전화번호 : 063-564-0862

최종수정일 : 2024-05-09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