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라는 전통예술은 어디에 기원을 두고 있을까? 판소리에 우리 민족의 문화와 사회 속 여러 가지 것들이 섞여 있는 것은 바로 우리의 사회와 문화 속에 이러한 요소들을 창조적으로 결합했기 때문이다.

판소리라는 전통예술은 어디에 기원을 두고 있을까? 민족문화의 정화로서 판소리가 어디에서 기원해서 전성기를 누리다가 현재에 이르렀는지 그 기원의 문제를 따지는 것은 판소리의 본질을 밝히는 핵심적인 요소로 전체를 관통하는 문제인 만큼 판소리 연구의 중심적인 화두이자 관심의 초점이었고, 지금까지 판소리 연구자들에 의해 여러 가지 기원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판소리의 총체적이고 개방적인 성격 때문에 판소리의 단일한 기원을 찾는 것은 결코 쉬운 일도 가능한 일도 아니었다. 판소리는 외형적으로 볼때, 그 바탕이 되는 근원설화적 요소, 민중들의 가슴을 울렸던 민요·잡가 등의 삽입가요들, 무가, 정악, 불교, 유교, 신선사상, 무속적 요소 등의 총화이기 때문이다. 민족문화의 정화인 판소리는 끊임없이 발전하는 잡식성의 예술로 거대한 공룡처럼 다종다양한 민족문화의 양식들을 도입하고 용해시켜 자신의 예술적 장치로 소화해 냈던 것이다.

이와같이 판소리는 민족문화의 이질적인 요소들의 새로운 차원으로의 결합이기 때문에 구성요소들을 분해해서 그 기원을 찾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사설적 측면, 음악적 측면, 제도적 측면, 장르적 측면 등으로 분해하고 기존의 문화적 요소들과의 동질성을 찾아 그 기원을 추정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각 기원설은 독자적으로 완전하게 그 기원을 설명해 준다기 보다는 상호 보조적으로 판소리의 기원을 설명해주고 있다고 보아야 하며 어느 하나를 단일한 기원으로 단정해서는 안될 것이다

지금까지 판소리의 기원은 설화기원설, 광대소학지희기원설, 서사무가기원설, 산이기원설, 육자배기토리기원설, 판놀음기원설 등으로 설명되었다. 각각의 기원설이 판소리의 어느 일면을 포착하고 나름대로 그 기원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 중에 그 포괄적이고 중심적인 위치 때문에 다른 기원설을 아우르는 것이 무가기원설이다. 이는 각 기원설의 조명 속에서 분명해질 것이다.

  • 설화기원설 설화기원설
  • 서사무가기원설서사무가기원설
  • 광대소학지희기원설광대소학지희기원설
  • 육자배기토리기원설육자배기토리기원설
  • 판놀음기원설 판놀음기원설
  • 산이기원설산이기원설
자료출처
  • 최동현 : 「판소리란 무엇인가」, 에디터, 1994.
  • 서대석 : 「판소리의 기원」,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2000.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콘텐츠 담당자 정보

  • 담당자 : 정재훈
  • 전화번호 : 063-560-8061

최종수정일 : 2019-12-18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