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및 목적
- 고창의 훌륭한 자연 문화유산을 보전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세계적인 생태관광명소로 발전시키기 위한 지역차원의 생물권 계획을 수립
- BR지정으로 농수특산물의 브랜드 가치 상승과 세계적 홍보에 따른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
범위 및 내용
구 분 | 관 련 내 용 | |
---|---|---|
위 치 | 고창 14개 읍면, 육상 및 해상(671.52㎢) | |
주요보전 | 고창부안 갯벌 람사르습지, 선운산도립공원, 운곡람사르습지, 동림저수지, 고인돌세계문화유산 등 | |
추진경과 | 2011.05.25 | 고창 BR 착수 |
2012.09.18 | MAB한국위원회 심의 | |
2012.10.30 | 고창BR 유네스코 신청 | |
2013.03.13 | MAB 국제자문위원회 승인 | |
2013.05.28 | MAB국제조정이사회 최종결정 |
주요기능
- 이행대의 복합적 생태계 적응을 통해 형성된 대표적인 “해양농경문화 생물권”
- 고유한 지역자원의 생태환경보전과 생태관광의 현명한 이용 “광역 관리체계 마련”
-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농촌도시발전의 “신동력 모델 제시”
보전기능(핵심구역 : 91.28 ㎢)
- 다양한 지형과 생물종의 복합적 · 광역적 생태계
- 5개권역 광역적 생태환경
- 난대 및 온대성 식물종
- 육상생태계와 해양생태계
- 이행대의 독특한 생태계
- 담수습지, 하천, 갯벌 및 수생물종
운곡습지
동림저수지
고창갯벌(곰소만)
발전기능(완충구역 : 265.54 ㎢)
- 천혜자연지역으로 생태관광 활성화
- 운곡람사르습지, 고창 · 부안갯벌 람사르 습지, 선운산도립공원
- 지역자연자원의 지역경제활성화
- 복분자 마케팅, 축제 활성화
- 친환경농업으로 주민소득 창출
- 친환경농법확대, 유기농산물 재배
복분자 농장
청보리밭 축제
선운산
지원기능(협력구역 : 314.70 ㎢)
-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
- 5개권역 광역적 생태환경
- 난대 및 온대성 식물종
- 육상생태계와 해양생태계
- 환경부, 해양수산부, 문화재청,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14개읍면, 농업협동조합, 작목반 조직 등
- 갯벌, 농촌, 복분자체험프로그램 개발
- 체계적 복원계획 및 모니터링 연구
용계마을
주민홍보 및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