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을 통해서 판소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시점은 영조 무렵으로 알려져 있다. | 영조때 만화가운데 가사 춘향가 200구가 실려 있는데, 이것이 현재 문헌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판소리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판소리형성기

판소리형성기를 알려주는 책

문헌을 통해서 판소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시점은 영조 무렵으로 알려져 있다. 영조 때 사람인 만화재(晩華齋), 유진한(柳振漢)의 문집인 만화집 가운데 가사 춘향가 200구(흔히 이것을 만화본 춘향가라고 한다)가 실려 있는데, 이것이 현재 문헌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판소리에 관한 가장 오래 된 기록인 것이다.

만화본 춘향가의 내용은 현재의 [춘향가]와 거의 같다. 긴사설을 짧은 한시로 번역했기 때문에 자세한 세부는 알 수 없으나, 대체로 보아 '결연 - 사랑 - 이별 - 수난 - 재회'로 이어지는 이야기의 줄거리와 등장 인물에 있어서는 현재의 것과 차이가 없다. 이상과 같은 사실로 보아 판소리는 이미 18세기 중반 이전, 그러니까 대체로 17세기 말 경에는 불려지기 시작했다고 보는 것이 옳지 않을까 생각된다.

초기의 판소리는 민중적인 기반을 지니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르는 사람도 민중이고 청중도 주로 민중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18세기에 들어 판소리는 서서히 양반 지식인층으로 침투하게 되어 기록자를 만나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여러 가지 변모를 겪게 되는데, [만화본 춘향가]는 그러한 과정의 한 산물로 보인다. 1810년경에 씌어진 송만재(宋晩載)의 관우희(觀優戱)라는 총 50 수로 된 한시에는 판소리 열두 바탕이 등장하며, 우춘대, 권삼득, 모흥갑 등 소리꾼의 이름도 나타난다.

이 시기의 판소리의 존재 양식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역시 송만재가 관우희를 쓰게 된 연유를 '우리 나라에는 과거에 급제하면 광대 재인 들을 불러 노래와 재주를 구경하는 풍속이 있는데, 금년 봄 우리 아이가 과거에 급제하고도 집안이 가난하여 한 바탕의 놀이를 베풀 수 없으므로 이 시를 짓는다'라고 밝힌 부분이다. 이를 보면, 초기의 판소리는 과거 급제와 같은 잔치에 초대되어 가는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인생의 중요한 계기에 이를 기념하기 위한 축제와 함께 존재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시기의 판소리는 아직 음악이나 사설의 내용에 있어서 현재의 것보다 훨씬 단순하고 빈약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기8명창시대

19세기 초반은 판소리사에서 '전기 8명창 시대'로 일컬어진다. 이 시대에 이르러 판소리는 완전히 12 바탕으로 완성되고, 여러 명의 훌륭한 명창들이 등장하여 판소리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판소리의 전성기를 구가하게 된다.

8명창 시대는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데, 전기는 19세기 전반, 후기는 19세기 후반에 해당된다. 19세기의 판소리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말하는 것은 그 두 시기의 판소리가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기 때문이다.

8명창 시대라고 하면 여덟 명의 명창이 활동하던 시기라는 뜻이겠으나, 여기서는 꼭 8이라는 숫자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8명창 시대란 '여덟 명 정도'의 명창이 활동하던 시기라는 의미이며, 이 때의 '여덟 명 정도'는 그 당시 활동했던 명창들 중에서 뛰어났던 사람들을 총괄하는 의미를 띠고 있다. 또 사람에 따라서 평가의 기준이 달라서 꼽는 사람들도 다르다.

전기 8명창에 거론되는 사람들은 권삼득, 송흥록, 염계달, 모흥갑, 고수관, 신만엽, 김제철, 주덕기, 황해천 등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구체적인 더늠이나 특별한 선율 형태 등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이러한 다양한 더늠과 선율의 개발을 통해 판소리의 음악적 세련에 큰 공헌을 하였다.

  • 권삼득(權三得)
    최초의 양반 소리꾼
    권삼득권삼득 유적비 (남원시 주천면 구룡폭포)
  • 송흥록(宋興祿)
    판소리의 가왕(歌王)
    송흥록송흥록 출생표지석 (남원시 운봉읍 비전마을)
  • 모흥갑(牟興甲)
    그림 속에 살아있는 전설의명창
    모흥갑「평양도」중, 창 모흥갑
  • 염계달(廉季達)
    <장끼전>을 지어 부른 어전 광대
    염계달
  • 고수관(高壽寬)
    임기웅변과 문장력이 뛰어났던 천재
    고수관고수관의 더늠은 '잦은사랑가'이다.
  • 신만엽(申萬葉)
    은하수에 별 떨어지듯 부드러운창법의 소유자
    신만엽창극 「수궁가」 중
  • 김제철(金齊哲)
    온화하고 명랑한 석화제의 창시자
    김제철심청가 중
  • 박유전(朴裕全)
    뛰어난 목청으로 서편제 창시
    박유전박유전 기념비(전남 보성군청 뒤)
  • 주덕기(朱德基)
    고수(鼓手) 출신 명창
    주덕기[평양도]부분, 고수 주덕기
  • 황해천(黃海天)
    자웅성(雌雄聲) 구사한 명창
    황해천[쌍치도(雙雉圖)], 심사정作
후기8명창시대

19세기 후반은 후기 8명창 시대로 일컬어진다. 이 시대에 활동했던 사람들 중에서 8명창에 드는 사람들은 박유전, 박만순, 이날치, 김세종, 송우룡, 정창업, 정춘풍, 김창록, 장자백, 김찬업, 이창윤 등이다.

후기 8명창들은 전기 8명창의 소리를 계승하여 다양한 더늠들을 개발하였다. 전기 8명창들이 대부분 다양한 향토 선율을 판소리 화하여 다양한 선율형을 개발한 데 비해, 후기 8명창들은 전기 8명창들이 개발해놓은 선율형들을 갈고닦아 판소리사에 길이 남을 아름다운 더늠들을 만든 것이다.

  • 박만순(朴萬順)
    가왕(歌王) 송흥록의 대를 이은 수제자
    박만순(朴萬順)적벽대전
  • 이날치(李捺致)
    새가 날아들게 만든 서편제의 대명창
    이날치(李捺致)국창 이날치 기념비(전남 담양 병풍산 기슭)
  • 송우룡(宋雨龍)
    송씨 일가의 법통 계승자
    송우룡(宋雨龍)남원의 동편제거리에 세워진 기념비
  • 김세종(金世宗)
    독보적인 판소리 이론가
    김세종(金世宗)생가터(순창군 동계)
  • 장자백(張子伯)
    빼어난 용모와 음성을 가진 명창
    장자백(張子伯)장자백 무과급제 홍패
  • 정창업(丁昌業)
    서러운 계면 창법으로 관객 울린 명창
    정창업(丁昌業)화주승과 심학규
  • 정춘풍(鄭春風)
    이론과 실기 겸비한 명창
    정춘풍(鄭春風)[소상팔경도첩] 중 강천모설도
  • 김찬업(金贊業)
    판소리 이면(裏面)을 깊이 아는 소리꾼
    김찬업(金贊業)[토끼 화상]을 손에 든 별주부
  • 김정근(金定根)
    김성옥-김정근-김창룡으로 이어진 중고제 명가(名家)
    김정근(金定根)김정근의 아들 김창룡
  • 한송학(韓松鶴)
    [장끼타령]에 능한 중고제 명창
    한송학(韓松鶴)창극[장끼전]
근대5명창시대

이 시기는 19세기말부터 20세기 전반기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 활동했던 사람들 중에서 5명창으로 일컬어지는 사람은 박기홍, 김창환, 김채만, 송만갑, 이동백, 김창룡, 유성준, 전도성, 정정렬 등이다. 이 시기는 서구 문화의 유입과 누적된 사회적 모순으로 조선조 봉건 체제가 해체되면서, 일제에 의한 국권의 침탈이라는 민족적 비운에 처해진 시기이다. 서구 문화의 유입은 판소리 존립의 기초가 되는 전통사회를 그 근저에서부터 위협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판소리도 변화되어 가는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자체 변화를 모색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창극화로 나타났다. 1912년 이후에는 광주 출신 김채만의 협률사를 시발로 협률사라고 하는 순회 공연 활동이 재개되었다. 또한 1920년대 이후에는 유성기 보급에 따른 레코드 취입도 성행하게 되어, 판소리는 점점 더 일반 대중의 취향에 의존하게 되었다. 판소리는 대중적 취향과 함께 계면화(슬픈 가락으로의 변화)의 과정을 밟게 된다. 대중의 슬픈 소리 취향에 부응하려는 움직임은 송만갑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이를 본격적으로 시도한 사람은 정정렬이며, 1930년대 이후 슬픈 소리로 당대 최고의 인기를 누린 사람은 임방울과 이화중선이다. 이 시대 또 하나 특기할 만한 일은, 1920년경에 전국 주요 도시에 권번(기생 조합)이 설치되어 여기서 판소리를 가르치기 시작함으로써 다수의 여자 창자가 배출되었다는 점이다. 이 시대에 활동했던 사람 중에서, 5명창에는 들지 못 하지만 주목할 만한 사람으로는 이선유, 장판개, 김정문, 박봉래, 공창식, 박동실 등이 있다.

  • 김창환(金昌煥)
    빼어난 풍채와 너름새의서편제 거장
    김창환(金昌煥)김창환 명창
  • 송만갑(宋萬甲)
    판소리사에 길이 빛날 천재 명창
    송만갑(宋萬甲)송만갑명창
  • 이동백(李東伯)
    명창 중 최고 벼슬에 오른독창성과 즉흥성의 소리
    이동백(李東伯)이동백 명창
  • 정정열(丁貞烈)
    판소리 현대화와 창극의 전형 일궈낸 계면조의 대가
    정정열(丁貞烈)정정열명창
  • 김창룡(金昌龍)
    고풍스런 중고제 소리 최후의 계승자
    김창룡(金昌龍)김창룡명창
  • 유성준(劉成俊)
    <수궁가>를 오늘에 전한 명창
    유성준(劉成俊)유성준 기념비 (남원 동편제거리)
  • 전도성(全道成)
    고아한 동편제 소리 계승자
    전도성(全道成)창극 심청가 '범피중류' 대목
  • 박기홍(朴基弘)
    동편제 마지막 종장(宗匠)
    박기홍(朴基弘)[적벽대전]을 그린 민화
  • 김채만(金采萬)
    광주판 서편제의 절창(絶唱)
    김채만(金采萬)김채만이 태어난 화순군 능주면에 있는 영벽정
  • 이선유(李善有)
    최초의 인쇄된 창본 남긴 고제(古制) 동편제 대가
    이선유(李善有)이선유 명창

이 시기의 말기에는 임방울, 김연수, 강장원 등이 활발한 활동을 하기 시작하였다

해방이휴의 판소리(1)

해방이 되자, 4일 후인 8월 19일 국악 건설 본부가 발족되었으며, 이는 후에 '국악원'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창극 운동도 다시 활발해져 다시 여러 단체가 생기는 가운데, 1948년 5월에는 여성 국악인 30여 명으로 구성된 '여성국악동호회'가 결성되어, 여성만으로 창극을 공연하게 되었으며, 레퍼터리도 전통 판소리를 벗어나 설화나 야사, 야화 등으로 확대되기 시작했다.

이 때의 대표적인 창극 단체와 창극은 국극사의 [만리장성], 국극협단의 [예도성의 삼경], 조선창극단의 [왕자호동], 김연수 창극단의 [단종과 사육신] 등으로 최고의 인기를 누리며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한편 여성국악동호회의 [햇님달님]도 공전의 대히트를 하여, 공연장마다 인파가 몰려들었다.

그러나 그런 호황도 잠깐, 6.25로 인하여 거의 아사지경에 이르고 말았다. 6.25 이후에는 다시 여성국극단이 생겨 일시 인기를 끄는 듯했으나, 마침내는 16개 단체가 난립하는 가운데, 1958년 이후는 기울어지기 시작하여 4.19 이후에는 거의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여성국극단의 종말은 판소리의 종말과 일치한다. 왜냐하면, 당시의 판소리는 순수 판소리를 고집하던 임방울, 정응민, 박봉술, 신영채 등 일부 소수를 제외하고는, 창극단이나 여성국극단으로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개화 이후 계속되어온 판소리의 창극화가 여성국극단에 이르러 종언을 고하게 되는 과정은, 장르의 순수성이 무너질 때 그것이 어떤 결과에 이르게 되는지를 잘 보여주는 실례가 된다. 서구식 무대의 도입에 의해 '청취의 대상'이었던 판소리가 '관람의 대상'으로 바뀌고, 관람의 대상으로서 '볼거리'에 치중하면서 마침내 전통적인 내용과 형식을 벗어나게 되어, 창극은 자멸의 길을 걸었던 것이다. 여기에 민족적 시련과 서구화에 의한 민족문화의 해체가 가속작용을 했음은 말할 것도 없다.

1961년 11월에는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가 발족되었고, 1961년 정부조직법의 개정으로 국립극장이 마련되어 여기에 국립창극단이 창설되었으며, 1973년부터는 국립창극단 단원 전원에게 유급제가 실시되어, 정부가 판소리에 대한 지원을 하기 시작하였다.

  • 장판개장판개
    (張判介,1885~1937)
  • 정응민정응민
    (鄭應珉,1896-1964)
  • 임방울임방울
    (林芳蔚,1904~1961)
  • 박녹주박녹주
    (朴綠珠,1906~1979)
  • 김연수김연수
    (金演洙,1907~1974)
  • 김여란김여란
    (金如蘭,1906~1982)
  • 정광수정광수
    (丁珖秀,1909~2003)
  • 박동실박동실
    (朴東實,1896-1969)
  • 이화중선이화중선
    (李花中仙,1898∼1943)
  • 이중선이중선
    (李中仙,1900∼1932)
  • 공대일공대일
    (孔大一,1910~1990)
  • 김명환김명환
    (金命煥, 1913~ )
  • 김득수김득수
    (金得洙, 1917~ )
해방이휴의 판소리(2)

그러나 판소리를 비롯한 전통문화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개입은, 1964년 일본에 이어 시행된 무형문화재 제도로부터 본격화되었다. 그리하여 1964년 김연수, 정광수, 김소희, 김여란이 판소리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래, 박동진, 박녹주, 박초월, 박귀희, 정권진, 한승호, 강도근, 오정숙, 성창순, 성우향, 조상현 씨등이 지정되어 국가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 무형문화재 제도의 실시는 사라져가는 전통문화에 대한 국가적 보호의 필요성을 느낀 정부에 의해 시행되었지만, 그 시행 자체가 이미 전통문화가 자생력을 잃었다는 한 증거이기도 하다.

판소리가 재생의 계기를 맞게 된 것은 정부의 무형문화재 지정에 뒤이은 판소리 창자들의 완창 발표회, 그리고 일부 뜻 있는 지식인들에 의해 주도된 판소리 감상회였다. 판소리 완창 발표회는 판소리 한 바탕을 처음부터 끝까지 부르는 발표회로, 1968년 박동진에 의해 처음 실시된 이래, 판소리 창자 및 감상자들 사이에 대단한 반향을 불러일으키면서 확산되었으며, 이제는 이 방식이 소리꾼의 기량을 선보이고 평가받는 방식으로 굳어졌다. 이는 서양식 무대와 서양식 제도를 이용하면서도 전통 판소리를 전혀 훼손하지 않음으로써, 바람직한 방식으로 자리를 확고히 한 것으로 평가된다.

  • 박동진박동진
    (朴東鎭,1916~2003)
  • 강도근강도근
    (姜道根, 1918~1996)
  • 조상선조상선
    (趙相鮮,1909~1962)
  • 김소희김소희
    (金素姬, 1917~1995)
  • 정철호정철호
    (鄭哲鎬,1923 ~ )
  • 홍정택홍정택
    (洪正澤, 1921~ )
  • 박봉술박봉술
    (朴鳳述, 1922~1989)
  • 박송희박송희
    (朴松熙, 1927~)
  • 정권진정권진
    (鄭權鎭, 1927~1986)
  • 한승호한승호
    (韓承鎬, 1924~ )
  • 김동준김동준
    (金東俊, 1928~ )
  • 남해성남해성
    (南海星, 1935~ )
  • 한농선한농선
    (韓弄仙, 1934~2002)
  • 성우향성우향
    (成又香, 1932~ )
  • 성창순성창순
    (成昌順, 1934~ )
  • 조상현조상현
    (趙相賢, 1939~ )
  • 오정숙오정숙
    (吳貞淑, 1935~)
  • 최승희최승희
    (崔承姬, 1937~ )
  • 김일구김일구
    (金一球, 1940~ )
  • 신영희신영희
    (申英姬, 1942~ )
  • 박윤초박윤초
    (朴倫初, 1944~ )
  • 조통달조통달
    (趙通達, 1945~ )
  • 안숙선안숙선
    (安淑善, 1949~ )
  • 박양덕박양덕
    (朴良德, 1947~ )
  • 홍성덕홍성덕
    (洪性德, 1945~ )
  • 왕기철왕기철
    (王基喆, 1950~ )
자료출처
  • 최동현, 『판소리 연구』, 문학아카데미사, 1991.
  • 최동현, 『판소리 이야기』, 인동, 1999.
  • 최동현, 『판소리란 무엇인가』, 에디터, 1994. ․ 판소리형성기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콘텐츠 담당자 정보

  • 담당자 : 정재훈
  • 전화번호 : 063-560-8061

최종수정일 : 2019-12-26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