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품질 고창쌀 생산 및 식량작물 경쟁력 향상 기술 보급
- 최고품질 고창쌀 생산단지 조성 및 브랜드화 : 5개 사업 593백만원
- 밥쌀용 고품질 신품종 생산 및 확대보급 등 신기술 시범사업 추진
- 고창쌀 품종비교 전시포 및 벼 드문모심기 시험포 등 운영
- 우량종자 및 자율교환 보급 : 470톤(벼 350톤, 밭작물 120톤)
- 밭작물 경쟁력 향상 신기술 보급 : 4개 사업 279.5백만원
- 소비자 선호형 고구마 국내 육성품종 보급 등 신기술 시범사업 추진
기후변화 대응 원예작물 및 축산 안정생산 시범
- 지리적표시 고창수박 명품화 추진 : 3개사업 60백만원
- 최상의 품질관리와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통한 전국 제일 수박 브랜드 명성 유지
- 원예특작분야 이상기상 대응 신기술 시범(멜론, 수박 등) : 7개사업 300백만원
- 새소득 작목 육성 시범(아열대과수, 소과종 수박 등) : 4개사업 540백만원
- 축산 경쟁력 향상 신기술 보급 : 2개사업 60백만원
농작물 병해충 신속대응 체계 구축
- 병해충 약제 지원 : 8개사업
- 벼 병해충 육묘상자처리제 지원 : 11,115ha(벼 재배 전면적) / 1,456.8백만원
- 무·배추 뿌리혹병, 사과·배 화상병, 탄저병, 토마토뿔나방, 돌발병해충 약제 지원 등
- 마을 드론 방제 확대 지원 : 14개소 490백만원(보조 294, 자담 196)
- 무인항공 방제를 위한 방제용 드론 구입 지원
- 국가관리병해충 및 돌발해충 예찰방제단 운영 : 연중
저탄소·생물농업 실천
- 저탄소 농업기술 확산 : 각 작물별 온실가스 감축기술 등
- 저탄소 · 생물농업 심포지엄 추진 : 2025. 10월중
- 복분자 고사율 경감을 위한 생물농업 확산
고창복분자 고사극복기술 현장확산
- 기후위기대응 저온성필름을 이용한 토양환경조절 기술 실증
- 강풍 견딤성과 저온성 필름(약 30% 차광)이 적용된 천정만 개폐되는 간이비가림 시설 현장실증
- 고사극복기술 영농현장 확산 : 집합교육 20회 이상, 상담 및 현장컨설팅 1,000회 이상(상담소장, 담당부서 직원)
복분자 고사극복 실증시험
- 운영기간 : 2025. 2. ~ 2027. 12.
- 장 소 : 농업기술센터 실증시범포(고수면 인성로)
- 포장면적 : 3,500㎡
- 주요내용 : 복분자 안정생산기술 현장실증
- 재식거리별 생육비교
- 묘(苗) 소질에 따른 생육비교
- 피복자재별 생육비교
- 수확후 결과지 제거 방식에 따른 고사율 비교
- 하계전정법에 따른 고사율 비교
- 미생물 종류별 뿌리발달 정도 비교
안전하고 편리한 농기계임대 서비스 지원
- 농기계 임대 및 배송서비스 추진
- 운영개소 : 4개소(본소, 서부권, 남부권, 북부권) / 보유 농기계 : 98종 1,101대
- 운송차량 : 11대(5톤 특수트럭 7대, 1톤 특수트럭 4대)
- 자격증 취득 및 농기계 실습 교육 강화
- 방제용 드론 면허취득 지원 : 25명
- 소형특수농기계 면허취득 지원(농업용 굴삭기·로더, 지게차 등) : 140명
- 농기계 안전 교육 및 순회수리봉사 : 10회
- 영농부산물 파쇄사업 : 105백만원
- 영농부산물의 관행적 불법소각처리로 인한 산불, 미세먼지 발생 예방 및 부산물 퇴비화
지속가능한 농업환경 및 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한 과학영농시설 운영
- 유용 미생물 배양·공급 : 950톤/년
- 유용미생물 4종(EM, 광합성균, 고초균, 고온성미생물) 및 불가사리 액비 공급
- 유용미생물 로켓배송 서비스 운영 : 14개 읍면 순회 공급(’25. 4월말 시행 예정)
- 조직배양관 운영
- 고구마 국내육성품종(소담미, 호감미, 통채루) 조직배양묘 생산·보급 : 20,000주
- 복분자 양액재배 연구 및 실증시험 재배(3개동 780㎡), 건전묘 농가 시범공급(10개소 12,000주)
- 과학영농 실증시범포 운영
- 유망작목 및 스마트 농업기술 적용 실증재배 : 테스트베드 및 비가림하우스 운영
- 아열대작물 재배 시험포 조성 : 애플망고 등 고창군 재배 적합지 시험
- 토양검정 및 가축분뇨 퇴·액비 분석실 운영
- 농업인 의뢰 및 국가시책사업 토양검정(5,000점/년)
- 적정 부숙 퇴·액비 농경지 투입을 위한 가축분뇨 퇴·액비 분석(1,000점/년)
- 농산물 안전분석실 운영
- 유통전 농가 및 농가단체 의뢰 농산물 잔류농약 분석(500건/년)
- PLS 대응 농약안전사용 농업인 교육 및 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