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농촌지도사업 종합평가 대상 수상 *

청년농업인 육성

  • 청년농업인 지원
    • 청년농업인 육성 시범 : 10개사업 1,448백만원(창업기반조성, 브랜드화 지원 등)
    • 청년농업인 활성화 지원카드 : 청년농 데이터베이스 구축(462명)
  • 청년농업인 안정정착 지원
    • 청년농업인 영농발대식 추진 : 186명
    •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확대 지원사업 추진(농림부 사업 종료 후속지원): 17명
    • 청년농 전문경영기법 및 마케팅 교육 : 9회 30명
    • 청년농업인 현장컨설팅: 12회 7명
  • 고창형 청년 스마트팜 단지 조성 : 2023 ~ 2025년
    • 성송면 판정리 소재 / 20,800㎡ / 총사업비 165억원
    • 스마트팜단지 설계 용역 착수 및 토목분야 기반조성부분 발주

지역특화작물 육성

  • 지리적표시 고창수박 명품화 전략
    • 고창수박 지리적표시 등록에 따른 고품질 명품브랜드화 추진
      • 고창수박 지리적표시 등록(2024.9.20.) : 등록번호 제116호
      • 고창 명품수박 아카데미 운영(2024. 9.~12.) : 수료생 67명
  • 미니수박 전국시장 선점
    • 1인가구 증가, 소비트렌드 변화에 따른 미니수박 재배 확대(89ha / 전국 재배면적의 15%)
    • 미니수박 재배기술 정립 및 홍보·마케팅
      • 미니수박평가회 개최(2024.6.14.) : 미니수박 발전 심포지엄, 품종별 전시 및 시식행사(100명)
      • 복분자와 수박축제 미니수박 홍보·마케팅(2024. 6. 21 ~ 23.)
        : 라이브커머스 2회(30만명), 도시민 방문객(120명) 팜파티, 시식·홍보 행사
      • 지역전략작목 연구사업 추진(2023~2025년) : 유기능 중·소과종 수박 토양 및 양분관리 기술 현장실증
    • 미니수박 수상 현황
      • 2024 소비자가 선정한 품질만족대상(지역농산물 부분) 대상 수상(’24년 7월)
      • 2024 최고품질 농산물 생산단지 최우수상(농림축산식품부장관) 수상(’24년 11월)
  • 고창 복분자 안정생산 재도약 : 353ha
    • 고사극복 핵심재배기술 확산
      • (2년생 이상) 하계전정 기술
      • 긴 강우시 토양멀칭 볏짚 제거
      • 유용미생물 체계 처리
    • 복분자 재배기술 교육(30회 1,384명)
  • 고창땅콩 : 380ha(전국 재배면적의 12%)
    • * 소비자가 선정한 품질만족대상(고창땅콩, 7년 연속 수상)

고창쌀 브랜드화 및 고품질 생산단지 조성

  • 고창 친환경 브랜드쌀 육성 : 230ha(11단지, 132농가)
    • 2024년 소비자만족 브랜드대상 수상 “고창 황토배기 친환경 쌀”
    • 고창 친환경쌀 생산단지 확대 심포지엄 추진(1회, 100명)
  • 국내 육성 신품종 생산단지 조성: 참동진, 십리향, 안평 등 108ha
    • 밥쌀용 고품질 신품종 생산 및 확대보급 시범 등 4개 사업 630백만원

농업인회관 및 창업가공 교육관 운영

  • 위치 : 고창읍 읍내리 515-6
  • 규모 : 978㎡(지상3층)
    • 1층 농업인 가공교육관, 2층 농업인단체 교육장·사무실·세미나실, 3층 대강당

농업인 맞춤형 전문교육 추진

  • 전문자격증반 교육 : 국가자격증(지게차, 굴삭기)반(22회 22명), 드론자격증반(41명)
  • 새해농업인 실용교육(2,822명) : 벼, 복분자, 고추
  • 정보화 마케팅 교육 : 12회 43명
    • 라이브커머스 교육, 홍보마케팅(유튜브)교육

농작물 병해충 신속대응 체계 구축

  • 병해충 약제 지원
    • 벼 육묘상자처리제 지원 : 11,115ha(고창군 전체 벼 재배면적) / 1,456.8백만원
    • 벼 병해충 긴급공동방제 약제 지원 : 730백만원
    • 벼멸구 발생 피해농가 방제비 지급 : 103백만원
    • 무·배추 뿌리혹병 사전약제 : 729ha, 514농가 / 167.2백만원
    • 과수화상병 사전약제 : 62ha, 45농가 / 24백만원
    • 돌발해충 방제 약제 지원 : 155ha, 198농가 / 48백만원
  • 마을 드론 방제 지원 사업 : 방제용 14대 지원 / 490백만원
  • 국가관리병해충 및 돌발해충 예찰방제단 운영 : 연중
  • 병해충 예찰포, 관찰포 등 운영 : 23개소(벼, 고추, 배, 무·배추 등)

사통발달 농기계 임대사업

  • 임대실적 : 10,996대(전년대비 18%증) / 운송서비스 : 1,900대(전년대비 9%증)
    • * 2024년 농기계 임대사업 종합평가 우수기관 선정(7년 연속)
  • 농기계 임대사업소 주말근무 시행 : 2~6월, 9~11월
  • 밭작물 기계화 지원사업 : 2개사업 416백만원
    • 노후 농기계·장비 대체, 주산지 일관기계화 사업
  • 소형특수농기계 면허취득 지원 교육 : 93명(굴삭기, 지게차, 로더 등)
  • 농업기계 안전교육(18회 492명) 및 순회수리봉사(11회 369명)

지속가능한 농업환경 조성 및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한 과학영농시설 운영

  • 유용 미생물 배양·공급
    • 유용미생물 4종(EM, 광합성균, 고초균, 고온성 미생물) 및 불가사리 액비 공급 : 923톤(’23년 450톤)
  • 조직배양관 운영
    • 고구마 국내육성품종(소담미, 호감미) 조직배양묘 생산·보급 : 23,200주
    • 복분자 양액재배 연구 및 실증시험 재배(3개동 780㎡), 건전묘 농가 시범공급(4,000주)
  • 과학영농 실증시범포 운영
    • 유망작목 및 스마트 농업기술 적용 실증재배 : 테스트베드 및 비가림하우스 운영
    • 아열대작물 시험재배를 위한 연동하우스 신축 : 1동 660㎡
  • 농산물 안전분석
    • 농산물 출하전 잔류농약 분석 : 769건(전년대비 17%증)
    • PLS 대응 농약 안전사용 교육 : 집합교육 25회 4,816명 / 비대면 5,600명
    • * 잔류농약 분석능력 우수기관 선정: 3년 연속(도내 최초)
  • 토양검정 및 가축분뇨 퇴·액비 부숙도 검사
    • 농업인 의뢰 및 국가시책사업 토양검정 : 5,300건
    • 농가의뢰 가축분뇨 퇴·액비 부숙도 검사 : 1,000건

농촌자원 활용 기술보급

  • 안전한 농촌을 위한 농작업 안전사업 추진
    • 농작업 재해예방 및 안전보건 교육(12회 292명), 안전보조구 지원(2,059점)
    • 작목별 맞춤형 안전관리 실천사업 : 1개소 50백만원
    • 농업인 재해 안전마을 육성 시범사업 : 1개소 50백만원
  • 농촌자원 활용 농식품 가공
    • 농식품 가공 시범사업 : 7개사업 620백만원
    • 농업인 창업가공 교육관 운영 및 교육(제과·제빵 등) : 31회 606명
    • 농산물 종합가공센터 운영 : 활용실적 87회 / 안전사용 교육 46회 203명
  • 농촌치유·체험 활성화
    • 농촌치유·체험 시범사업 : 3개사업 84백만원
    • 기관연계 농촌치유·체험 프로그램 운영 : 43회 497명
    • 2024년 고창 치유농업 심포지엄 및 치유농장 플리마켓 개최 : 5. 24.(목)/100명 참여

활력을 불어넣는 귀농귀촌

  • 귀농귀촌 지원사업 추진 : 3개분야 20개사업 748.5백만원
    • 정착 지원 : 귀농인 영농정착금 지원, 농가주택 수리비 지원 등
    • 유치 지원 : 귀농인의 집 조성사업
    • 활성화 추진 : 마을환영회 지원, 재능기부 활동 지원, 멘토 컨설팅 지원 등
  •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 입교생 30세대 중 22세대 정착(정착율 73%)
    • 체류형 농업창업교육 : 234시간(주 1~2회, 약 9개월)
  • 새내기 농업학교 운영 : 53명 124시간(주 1회, 약 9개월)
  • 단기농촌체험시설 운영 : 128건
    • *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귀농귀촌분야) : 12년 연속수상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콘텐츠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 농업기술센터
  • 전화번호 : 063-560-8822

최종수정일 : 2025-03-0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